CHAPTER 9.

MEDICATION SIDE EFFECTS

 


 

 

 



◆histrionic /ˌhɪstriˈɑːnɪk/ - 과장된, 극적인

cut into /kʌt ˈɪntuː/
1. 방해하다, 끼어들다
주로 대화, 흐름, 시간, 방송 등을 끊거나 침해할 때.
Ex)
Sorry to cut into your conversation.
→ 대화 중에 끼어들어서 미안해.
The meeting cut into my lunch break.
→ 회의 때문에 점심시간이 줄었어.

2. 깊이 파고들다, 베다
물리적으로 무언가를 자르거나 파고들 때.
감정적으로 누군가를 깊게 상처 입히는 뜻으로도 확장돼.
Ex)
Her words really cut into me.
→ 그녀의 말은 정말 내 마음을 후벼팠어.

all over the place /ɔːl ˈoʊvər ðə pleɪs/ - 여기저기, 종잡을 수 없는
Ex) I know I sound a little all over the place right now.
→ 나 지금 말이 좀 두서없다는 거 알아.
→ 나 지금 좀 횡설수설하는 것 같아.

💬 비슷한 표현
Ex)I know I’m not making much sense right now.
(나 지금 말이 잘 안 되는 거 알아.)
“Sorry, I’m kind of rambling.”
(미안, 나 지금 좀 횡설수설하고 있어.)

candid /ˈkændɪd/ - 솔직한, 정직한
in one go /ɪn wʌn ɡoʊ/ - 한 번에, 단숨에
Ex) It’s because I find it so difficult to be candid about this, so I’m just going to say what I feel in one go.
→ 이 이야기에 솔직해지는 게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그래. 그래서 그냥 한 번에 내가 느끼는 걸 다 말할게

put all this scrutiny /pʊt ɔːl ðɪs ˈskruːtəni/ - 철저한 조사를 가하다
put scrutiny on ~ → ~를 주의 깊게, 샅샅이 관찰하게 하다, 유심히 살피게 만들다
여기서 scrutiny는 ‘정밀한 관찰, 감시, 응시’ 같은 의미
on my face → 내 얼굴에
즉, 사람들이 내 표정, 감정, 반응을 샅샅이 읽으려 들게 만드는 상황
Ex) Because it puts all this scrutiny on my face."
→ 왜냐하면 그게 내 얼굴을 온통 들여다보게 만들거든.
→ 그 말(상황)이 나를 너무 뚫어지게 바라보게 만들어서 그래.
→ 그 때문에 사람들이 내 얼굴에 온 신경을 집중하게 돼.

snippy /ˈsnɪpi/ - 퉁명스러운, 짜증을 내는
Note how ~ → ~한 거 주의 깊게 봐봐 / 알아차려봐
snippy → 툭툭 쏘는, 까칠한, 예민하게 구는
말투가 날카롭거나 짜증 섞일 때 쓰는 형용사
I’m getting snippy → 나 점점 까칠해지고 있어

🔹 see how snippy I'm getting
→ 아주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표현
→ “내가 얼마나 까칠해지고 있는지 보이지?” 같은 느낌
→ 말하는 사람도 감정에 좀 몰입돼 있을 때 자주 씀

🔹 note how snippy I'm getting
→ 약간 거리감 있고, 자기 자신을 관찰하거나 해석하는 말투
→ 예: "노트해둬~ 나 지금 점점 짜증 나고 있음" 하는 식
→ 약간 아이러니하거나 셀프분석 느낌 줄 때 사용

convoluted /ˈkɑːnvəluːtɪd/ - 복잡한, 난해한
"It just seems a little convoluted."
→ 그냥 좀 복잡하게 느껴져.
→ 그게 좀 뒤죽박죽된 느낌이야.
→ 그냥 너무 꼬여 있는 것처럼 보여.

pounding /ˈpaʊndɪŋ/ - 두근거리는, 쿵쾅거리는
"My heart kept pounding and I couldn’t look them in the eye."
→ 가슴이 계속 뛰었고, 그 사람들 눈을 마주칠 수가 없었어.
→ 심장이 두근거려서 그들의 눈을 제대로 쳐다볼 수 없었어.
→ 가슴이 쿵쾅거려서 눈을 제대로 못 마주쳤어.

mortified /ˈmɔːrtɪfaɪd/ - 굴욕감을 느끼는, 당황한
But I just felt so mortified by the whole encounter."
→ 근데 그 만남 자체가 너무 창피하고 수치스럽게 느껴졌어.

felt so mortified
→ 엄청 창피하고 수치스럽게 느꼈다
→ mortified는 단순히 부끄러운 걸 넘어서 굉장히 모욕감이 들거나 굴욕을 느끼는 상태
by the whole encounter
→ 그 만남, 그 상황 전체 때문에

did you go as far as to get a consultation
→ 상담까지 받을 정도로 갔던 거야?
→ 진짜 상담까지 받을 정도였어?
표현 풀이:
*go as far as to ~
→ ~할 정도까지 하다, 심지어 ~하기까지 하다
→ 뭔가 극단적인 선택이나 예상 밖의 행동을 했을 때 강조하는 표현
*get a consultation
→ 상담을 받다 (의사, 전문가, 심리상담사 등 어떤 형태든 OK)

flare-up /flɛər-ʌp/ - (감정·질병 등의) 갑작스러운 악화, 격발
I suddenly had a big flare-up in my insecurities last week when two of the men in the group seemed to be treating one of my friends better than everyone else."
→ 지난주에 갑자기 내 불안감이 확 올라왔어. 그 그룹 안에 있던 남자 두 명이 내 친구 한 명한테만 유독 잘해주는 것처럼 보여서.
→ 지난주에 내가 되게 불안해졌어. 그 그룹에 있던 남자 두 명이 내 친구 하나한테만 특별하게 잘해주는 것처럼 느껴졌거든.

표현 풀이:
*flare-up (of insecurities)
→ 감정이 확 치솟는 것, 특히 불안, 분노, 우울 같은 감정이 갑자기 터지는 상황
→ 여기선 “불안감이 확 폭발했다”는 의미로 부드럽게 번역 가능
*insecurities
→ 자존감 부족, 열등감, 불안감 등 (복합 감정 포함)
treat ~ better than everyone else
→ 특별대우하다, 다른 사람보다 더 잘해주다

hideous /ˈhɪdiəs/ - 흉측한, 끔찍한
I must be really unattractive and hideous.
→ 나는 진짜 매력도 없고, 끔찍하게 못생긴 게 분명해.

🔍 표현 풀이:
I must be ~
→ (자기 확신, 또는 자책 섞인 단정)
→ "나는 ~임에 틀림없어" / "나는 분명 ~일 거야"
unattractive
→ 매력 없는, 눈길을 끌지 못하는
hideous
→ 끔찍할 정도로 못생긴, 보기 흉한 (비하가 강함)

bounce off a wall /baʊns ɔːf ə wɔːl/ - 튕겨져 나가다
I feel like I’ll bounce off a wall if no one pays any attention to me.
→ 아무도 나한테 관심 안 주면 그냥 벽에 부딪혀서 튕겨나갈 것 같은 기분이야.
→ 아무도 나를 신경 안 쓰면, 그냥 벽에 부딪혀 튕겨 나가는 존재 같아.

✅ 1. 흥분해서 가만히 있지 못할 때
(비유적으로 에너지가 넘칠 때 자주 씀)
bounce off the walls → 너무 들떠서 통제 불가능한 상태, 에너지가 과한 상태
예)
The kids had so much candy, they were bouncing off the walls.
→ 애들이 사탕을 너무 많이 먹어서 진짜 날뛰고 있었어.
I’m so excited I could bounce off the walls!
→ 나 너무 신나서 뛰어다닐 것 같아!
이 뉘앙스에서는 활동적이고 흥분한 상태를 뜻해. 특히 아이들한테 자주 써.

✅ 2. (비유적으로) 무시당하고 튕겨 나가는 느낌
(사람들이 관심을 안 주거나 내 존재를 받아들이지 않을 때)

I feel like I’ll bounce off a wall if no one pays attention to me.
→ 내가 아무 반응 없이 그냥 외면당하는 존재 같아
→ 벽에다 얘기하고 튕겨 나가는 느낌

as hopeless as /æz ˈhoʊpləs æz/ - ~만큼 절망적인
ex) I bet you don’t have another patient as hopeless as me."
→ 당신한테 나만큼 희망 없는 환자는 또 없겠죠.
→ 나처럼 답 없는(절망적인) 환자는 당신도 처음일 걸요.

frivolous /ˈfrɪvələs/ - 경박한, 하찮은
Ex) There are people who share thoughts as frivolous as these with you?
→ 이렇게 가벼운 생각들도 당신한테 털어놓는 사람들이 있어요?
→ 이 정도로 시시한 얘기까지 털어놓는 사람이 또 있어요?

roundabout /ˈraʊndəbaʊt/ - 우회적인, 간접적인
Ex) I imagine you are, but some people have a more roundabout way of getting to that point of embarrassment.
→ 당신도 그렇겠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 창피함에 이르기까지 좀 더 우회적인 방식으로 가더라고요.
→ 당신도 아마 그렇겠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런 민망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훨씬 빙빙 돌더라고요.

표현 풀이:
I imagine you are
→ 당신도 그렇겠죠, 그럴 거라 상상해요 (공감이나 추측의 표현)
a more roundabout way
→ 더 우회적인 방식, 직접적이지 않은 경로
→ 즉, 감정을 바로 드러내지 않고, 빙 돌아 말하거나 행동하는 걸 뜻함
getting to that point of embarrassment
→ 그 부끄러운 순간에 도달하는 것,
창피함을 느끼는 감정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manifest /ˈmænɪfest/ - 분명히 나타내다, 드러내다
Ex) There are usually two ways it manifests.
→ 보통 그건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나.
→ 그게 드러나는 방식은 보통 두 가지야.

✅ 1. manifest
(감정·특징·질병·문제 등이) 겉으로 분명하게 드러나다, 나타나다

주로 추상적인 것들(감정, 심리 상태, 성격, 문제점 등)이 드러날 때 사용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느낌, 누가 의도해서 보여주는 게 아님
좋은 의미도 가능하지만, 부정적일 때 더 자주 쓰임
예)
His anxiety manifests as anger.
→ 그의 불안은 분노로 드러난다.
The symptoms manifested early.
→ 증상은 일찍 나타났다.
Her talent manifested at a young age. (긍정적이지만 드물게 사용)
→ 그녀의 재능은 어릴 때부터 드러났다.
📝 많이 쓰는 구조:
It manifests as ~ (이것은 ~의 형태로 드러난다)
manifest in behavior / symptoms / choices


✅ 2. reveal
감춰져 있던 걸 밝히다, 드러내다, 폭로하다 (→ 의도적인 느낌이 강함)

의도적 공개의 느낌이 강함 (말, 행동, 혹은 누가 밝히는 경우)
비밀, 진심, 정보, 감정 등을 드러낼 때 자주 씀
긍정/부정 모두 자주 사용됨
예)
She revealed the truth about her past.
→ 그녀는 자신의 과거에 대한 진실을 밝혔다.
His expression revealed his disappointment.
→ 그의 표정에서 실망감이 드러났다.
The test results revealed a serious problem.
→ 검사 결과가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다


berate /bɪˈreɪt/ - 꾸짖다, 질책하다
If they fail to be the centre of attention, [they] tend to assume it’s because people hate them and they berate themselves for it.
→ 자신이 주목받지 못하면, 사람들에게 미움받는다고 생각하고 그 일로 자신을 몰아세우는 경향이 있어.
→ 주목의 중심이 되지 못하면, 그걸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해서라고 여기고 스스로를 자책해.

insulted /ɪnˈsʌltɪd/ - 모욕당한
Ex) Anyway, I felt so insulted when they said that.
→ 어쨌든, 그 말을 들었을 때 정말 모욕감을 느꼈어.
That comment was really insulting.
→ 그 말은 정말 모욕적이었어.

✅ 1. insulted
/ɪnˈsʌltɪd/
뜻: 모욕감을 느끼다, 기분이 상하다, 무시당한 느낌을 받다
🔹 핵심 감정:
분노, 자존심 상함
“나를 무시했어”, “그건 실례야”, “나를 깎아내렸어” 이런 느낌
주로 외부에서 누군가가 나에게 상처 주는 말/행동을 했을 때 느껴짐
🔹 예)
I felt insulted when they laughed at my question.
→ 내 질문을 비웃었을 때, 진짜 기분 나빴어.
That comment was really insulting.
→ 그 말은 정말 모욕적이었어.

✅ 2. mortified
/ˈmɔːr.t̬ə.faɪd/
뜻: 굉장히 부끄럽고, 창피하고, 수치스러운 느낌
🔹 핵심 감정:
수치심, 굴욕, 자책
“너무 창피해서 땅굴 파고 들어가고 싶어”, “굴욕적이었어” 이런 느낌
스스로 창피하거나, 남들 앞에서 망신당한 상황에서 주로 써
insulted보다 감정의 강도가 훨씬 세고, 더 감정적이고 극단적임
🔹 예)
I was mortified when I tripped in front of everyone.
→ 모두 앞에서 넘어져서 정말 죽고 싶을 정도로 창피했어.
He was mortified by his mistake during the presentation.
→ 발표 도중 실수해서 엄청 창피해했어.

goad /ɡoʊd/ - 부추기다, 자극하다
Ex) So you goad yourself into choosing just one angle, which is the easiest way out."
→ 그래서 너는 스스로를 몰아붙여서, 결국 하나의 시선만 택하게 돼. 그게 가장 쉬운 탈출구거든.
→ 결국 스스로를 다그쳐서 한 방향만 선택하게 돼. 그게 가장 간단한 해결책처럼 느껴지니까.

표현 풀이:
goad yourself into ~
→ 스스로를 몰아붙이다, 강제로 어떤 행동을 하게 하다
여기서 goad는 원래 소 등을 찔러 몰아가는 뜻
감정적으로는 “스스로를 다그쳐서 억지로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
choosing just one angle
→ **단 하나의 시선(관점, 해석)**만 선택함
→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감정에 휘둘려 하나의 틀에 갇힌 해석만 하게 된다는 뜻

rose-coloured /roʊz ˈkʌlərd/ - 지나치게 낙관적인, 장밋빛의
Ex) What I honestly feel is that if my partner’s friends don’t think I’m pretty, my partner will stop seeing me through rose-coloured glasses.
→ 솔직히 말해서, 내 파트너의 친구들이 나를 예쁘다고 생각하지 않으면, 내 파트너도 결국 나를 좋게만 보지는 않게 될 것 같아.
→ 진짜 내 마음은, 파트너 친구들이 내가 예쁘지 않다고 생각하면, 파트너도 더 이상 나를 예쁘게만 보진 않을 것 같다는 거야.

표현 풀이:
what I honestly feel is that ~
→ 정말 솔직한 내 감정은 ~이다
see someone through rose-coloured glasses
→ 장밋빛 안경을 끼고 보다 → 즉, 사랑에 빠진 상태로, 단점은 안 보이고 장점만 부각해서 보는 상태
→ 여기선 “좋게만 보다, 예쁘게만 보이다”는 의미

fit the bill /fɪt ðə bɪl/ - 요구에 맞다, 적합하다
No, as I said, you have some tendencies, but you don’t quite fit the bill.
→ 아니에요. 말씀드렸듯이, 그런 경향은 조금 있지만, 정확히 해당되진 않아요.
→ 아니, 전에 말했듯이 그런 성향이 조금 보이긴 하지만, 그 진단에 딱 들어맞진 않아요.

don’t quite fit the bill
→ 정확히 해당되진 않는다 (*'기준에 딱 들어맞진 않는다'*는 표현)

interpret /ɪnˈtɜːrprɪt/ A as B → A를 B로 받아들이다, 해석하다
cane hooking /keɪn ˈhʊkɪŋ/ - 지팡이를 사용하여 걸어 올리는 것 (특정한 문맥에서 쓰임)

Ex) You interpret any attempt to take the spotlight away from you as a large cane hooking you by the waist and dragging you off the stage."
→ 누군가가 주목을 당신에게서 빼앗으려 하면, 당신은 그걸 마치 커다란 갈고리 막대기가 허리를 걸어 무대 밖으로 끌고 나가는 것처럼 받아들여요.
→ 누가 주목을 가져가려고 하면, 당신은 그걸 꼭 누군가가 커다란 지팡이로 허리를 낚아채서 무대에서 끌어내리는 것처럼 느껴요.

disproportionately /ˌdɪsprəˈpɔːrʃənətli/ - 불균형하게, 과도하게 (쉬운 대체 표현: way bigger)
Ex) I think your fears are disproportionately large compared to the actual danger.
→ 내가 보기엔, 네가 느끼는 두려움이 실제 위험에 비해 지나치게 큰 것 같아.
→ 네 두려움은 실제로 닥친 위험보다 훨씬 과장된 것처럼 보여.

rut /rʌt/ - 틀에 박힌 생활, 타성
(바퀴 자국처럼 생긴) 깊은 고랑이라는 뜻
비유적으로 무기력하고 지루한 반복 상태, 탈출구 없는 일상, 답답한 상황을 의미해
감정적으로는 **"정체된 삶", "계속 제자리걸음만 하는 기분"**

Ex) How do I get out of this rut?
→ 이 지겨운 상태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 이 반복되는 무기력한 패턴에서 어떻게 빠져나오지?

In the scheme/skiːm/ of things -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크게 보면, 전체 맥락에서
( : 겸손하거나 객관적으로 말하고 싶을 때 자주 쓰는 표현)
Ex) I’m not this or that extreme, but in the scheme of things, I’m nice-looking.
→ 내가 아주 예쁘다거나 못생겼다거나 한 건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괜찮은 편이야.
→ 극단적으로 예쁘지도 않고 못생기지도 않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나도 괜찮게 생긴 편이야.

bragging /ˈbræɡɪŋ/ - 자랑하는, 떠벌리는
Ex) Think about how pressured your partner would be if you’d gone around bragging about them as well.
→ 너도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그 사람 자랑하고 다녔다면, 네 파트너가 얼마나 부담스러웠을지 생각해 봐.
→ 너도 그 사람을 계속 자랑하고 다녔다면, 네 파트너가 얼마나 압박감을 느꼈겠어?

crux /krʌks/ - 핵심, 가장 중요한 부분
Ex) But the crux of the matter is that you keep believing you have to meet other people’s expectations.
→ 하지만 문제의 핵심은, 네가 계속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는 거야.
→ 근데 핵심은, 네가 여전히 남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거야.

popping into /ˈpɑːpɪŋ ˈɪntuː/ - 잠깐 들르다, 갑자기 나타나다
Ex) Sometimes you’ll leave the house with your hair a mess if you’re just popping into the corner store.
→ 가끔은 그냥 근처 가게 잠깐 들를 거면 머리가 엉망이어도 그냥 나갈 때도 있잖아.
→ 머리가 좀 엉망이어도, 그냥 동네 가게에 잠깐 들를 거면 대충 나갈 때도 있는 거지

traits /treɪts/ - 특성, 특징
Ex) Maybe because they have traits that you don’t have.
→ 아마 그 사람들이 너에게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일 수도 있어.

prospect /ˈprɑːspekt/ - 전망, 가능성
Ex) I just really hate the prospect of them thinking I’m not pretty.
→ 그 사람들이 나를 예쁘지 않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는 그 가능성 자체가 정말 싫어.
→ 내가 예쁘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그 생각만으로도 너무 싫어.

dysmorphia /dɪsˈmɔːrfiə/ - (신체) 이형 장애
Ex) A lot of people with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suffer from body dysmorphia.
→ 히스트리성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들 중 많은 이들이 신체이형장애를 겪어요.
→ 히스트리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엔 외모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가진 경우가 많아요.

twisted /ˈtwɪstɪd/ - 뒤틀린, 이상한
crumpled /ˈkrʌm.pəld/ - 구겨진, 쭈글쭈글한, 찌그러진
Ex) Their reflection makes them look twisted or crumpled.
→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이 일그러지거나 구겨져 보이는 거야.
→ 자기 모습을 보면 비뚤어지고 찌그러져 보인다고 느껴.

delusion /dɪˈluːʒən/ - 망상, 착각
Ex) I’m talking about something that’s a kind of delusion, something people who suffer from this disorder actually see.
→ 내가 말하는 건 일종의 망상 같은 거야 —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실제로 보게 되는 것 말이야.

insidious /ɪnˈsɪdiəs/ - 서서히 퍼지는, 교묘한,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은밀히 해를 끼치는,
서서히 파고드는 : 여기서는 조용히 사람을 억누르고 무너뜨리는 사회적 시선의 위험성을 표현
Ex) The social gaze is so insidious, and despite any escape being impossible, I want to escape it.
→ 사회의 시선은 정말 은밀하고 교묘해. 도망칠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난 그 시선에서 벗어나고 싶어.
→ 사회적인 시선은 너무도 교묘하고 침투적이야. 도망칠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난 자꾸 도망치고 싶어.

deliberately /dɪˈlɪbərətli/ - 의도적으로, 신중하게
Ex) But I don’t want to deliberately become fat, either."
→ 그렇다고 해서 일부러 뚱뚱해지고 싶진 않아.
→ 하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살찌우고 싶지도 않아.

✅ "일부러"를 표현할 수 있는 영어 표현들 정리:
*deliberately 일부러, 의도적으 로  | 격식 있고 중립적. 글쓰기나 진지한 대화에서 사용
*on purpose 일부러  |  가장 흔하고 자연스러운 구어체 표현
*intentionally 의도적으로  | deliberately보다 약간 더 "계획적" 느낌, 약간 공식적
*knowingly 알고도, 일부러   |  상황을 인식한 채로 일부러 그랬다는 뜻 (약간 비난 뉘앙스 있음)
*with intent 의도를 가지고   |  법률적 표현에 자주 등장 (ex. with intent to harm)
*by choice 스스로 선택해서 |  일부러 그렇게 되게 한 것이라는 의미, 순화된 말투

strive /straɪv/ - 노력하다, 애쓰다
denigrate /ˈdɛnɪˌɡreɪt/ - 폄하하다, 비방하다
Ex) I don’t know why an individual has to be treated as less-than and strive to fit society’s standards when it’s the people who denigrate others who are the real problem.
→ 왜 개인이 열등한 존재처럼 취급받고, 사회의 기준에 맞추려고 애써야 하는지 모르겠어. 진짜 문제는 다른 사람을 깎아내리는 사람들이잖아.
→ 왜 누군가가 ‘덜한 존재’처럼 취급받고, 사회 기준에 맞추려고 발버둥쳐야 하지?
실제로 문제인 건 남을 깔보고 조롱하는 사람들이잖아.

loathe /loʊð/ - 혐오하다
Ex) I absolutely loathe that about myself.
→ 나는 내 그 점이 정말 진절머리나도록 싫어
→ 그게 내 성격이라는 게 너무 싫고 역겨워.
→ 내 자신에게 그런 면이 있다는 게 너무 끔찍하게 싫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