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룩 업 상영중

Don't Look Up, 2021
공개 2021.12.08
장르 코미디
국가 미국
등급 15세이상관람가
러닝타임139분
 
 
 
 
 
미국 사회 그 자체를 보여주는 정치풍자 블랙코미디다. 그리고 SF요소를 함께 곁들인... 올 연말에 볼만한 괜찮은 상업영화를 찾는다면 단연코 추천하고싶은 영화. 일단 등장인물 라인업부터 엄청나다.
 
 
에? 이 모든 헐리우드 배우들이 한 영화에 다 등장한다고? - "네 맞습니다." 
 
 
개인적으로 나는 제니퍼 로렌스를 매우 좋아하기에... 특히나 예민한 또라이 연기로는 제니퍼로렌스를 따라올만한 배우가 없지않을까 싶을 정도로 그녀의 '미친x' 연기를 굉장히 좋아하는 편인데 심지어 그마저도 사랑스럽고 매력적인 캐릭터로 소화하는 엄청난 능력이 있는 배우..(도저히 미워할수 없는 또라이라고 할까) 이 영화속 캐릭터도 영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에서 보여줬던 이미지와 꽤 비슷한 부분이 많이 보였는데,  여기서 제니퍼로렌스가 맡은 캐릭터의 MBTI를 나름대로 유추해보자면 아마도 ENTP가 아닐까 짐작해본다. (지극히 개인적 상상)
 
 
아무튼 신랄하게 팩폭 두들겨 때리는 블랙 코미디 영화인데, 초반에만해도 가벼운 코미디 장르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가 점점 가면 갈수록 현실의 모습을 빼다박을 정도로 디테일하게 파고드는 영화를 보면서 사뭇 진지해진다. 그리고 심지어 이 영화에 등장하는 아리아나 그란데는 현실의 팝스타 아리아나 그란데라는 정체성을 그대로 가져와서 출연하기 때문에... 더욱 더 하이퍼리얼리즘.. 뭐랄까 굉장히 현실 같은 가상 얘기를 정말로 현실적으로 잘 그려냈구나. 라는생각이 들게 되면서 분명 웃고 있었지만 영화가 진행될수록 왠지 모르게 내 마음은 점점 진지해지고...  마음이 무겁고...결국 슬퍼지기까지.. 특히 영화 내내 팩폭 두들겨패는 두 주인공이 관객들을 향해 "아직도 웃기냐? 제발 정신차려 이것들아." 라고 얘기하듯 마치 우리에게 시원한 싸다구를 연신 갈겨대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고 해야될지. 온갖 미사여구를 동원하며 이 영화를 보면서 느꼈던 나의 감정 변화들을 구구절절 묘사해보려고 최대한 노력해보았지만 글쎄, 이 정도로 맞는 표현일지 잘 모르겠다. 어쨌든 결론적으로 웃긴것 같지만 절대 웃기지만은 않은 영화.
 
 
 
 
 
 
 
천문학 교수인 랜들 민디 박사(디카프리오)는 그의 제자 케이트 디비아스키(제니퍼 로렌스)와 어느날 지구에 빠른 속도로 다가오고 있는 행성을 발견하게되고 이대로 두었다가는 6개월 뒤 지구와 직접 충돌하여 지구 멸망으로 치닫게 될 지 모르는 무시무시한사실을 알게된다.  그리고 이 사실을 전 세계에 알리기위한 사명감으로 둘은 언론 투어에 나서게되는데, 가장 핫하다는 인기 토크쇼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까지 고군분투를 했지만 글쎄, 전혀 성과가 없다. 케이트는 이 상황에 분노하여 생방송 중에 결국 참지못하고 극대노를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누구 하나 진지하게 들어주는 사람이 없다. 
 
 
이 영화에서 가장 미국스러운 분위기를 잘 반영한 장면은 단연코 토크쇼 씬이 아니었나 생각하는데 미국사회 특유의 분위기들, 예를들면 그들은 사람들의 어떤 말과 행동들을 'cool'하고 'fancy'하다고 느끼는지 미국 주류 미디어의 전반적인 분위기에 대해서 가장 잘 보여주는 부분이었다.
 
 
 
 

 

 

미국 근처라고는 1도 가본적 없는, 근처 공기도 못맡아본 사람이지만 유튜브 플랫폼을 통해서내가  간접적으로 경험한 미국은 굉장히 '희화화' 하는 유머 코드를 즐기고 좋아한다고 느낀적이 있었다. 한때 미국 스탠딩 코미디 영상이 웃겨서 우연히 연달아 몇편을 줄지어 봤었을때가 있었는데 바로 그때 그런 생각을 했었지 싶다. 주로 19금이나 인신공격적인 얘기 혹은 건들이지 말아야 할 예민한 영역의 주제들을 가지고 아슬아슬하게 줄타기하듯 토크를 진행하는 코드가 굉장히 많았는데 (ex 인종차별, 게이, 레즈비언과 같은 주제들) 물론 자극적이어서 일수도 있지만 무언가를 희화화하여 비판하고, 또는 팩폭을 날리면서 엄청난 펀치라인을 내뱉었을때 거기서 느낄수 있는 쾌감, 희열 같은 것들을 매우 쿨하고 유머러스한 재능이라고 생각하는 문화가 있는 것 같다. 

 

아무튼 바로 이 영화의 토크쇼 장면에서 보여주고자 했던 부분도 그런게 아니었을까.  그 어떤 무거운 주제를 가지고와도 한없이 가볍고, 우습고, 웃긴 농담 따위 정도로 취급하며 얘기 해야하는것이 바로 이 토크쇼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이면서 룰이었다. 그런 상황속에서 두 주인공이 등장하여 전하고자 했던 중요한 이야기는 정말 '팩트'였음에도 불구하고 제작진 및 토크쇼의 진행자들은 그 둘을 한낱 얼빠진 '진지충' 인간 정도로 취급할 뿐이었는데, 디카프리오와 제니퍼로렌스의 방향성이 여기서 서로 살짝 틀어지게된다.  천문학 교수 '랜들 민디' 박사로 나오는 디카프리오는 이 주류사회가 내뿜는 거대한 자본주의의 유혹과 환락에 정신 차리지 못하고 그만 빠져들어버리게 되는데 이 마저 현실을 리얼하게 반영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 

 

 

 

 

 

여자저차 하여 민디 박사와 케이트는 그들이 원했던대로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행성을 폭파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정부와 함께 손을 잡고 계획을 진행하게 되는데, 바로 여기서 세계 3위 부자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BASH의 대표자(마크라이런스)가 나타난다. 그는 잘 흘러가고 있던 상황을 다시금 완전히 뒤집어 놓게 된다. 그의 말대로라면 지금 지구에 다가오고 있는 행성에는 어마어마한 순수 자원이 있어, 그 자원을 산업화 했을때 무려 140조원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미국 대통령(메릴스트립)의 마음을 순식간에 현혹시켜버린다. 그렇게 행성 폭파 계획은 완전히 무산되어버리고 난데없이 행성에 로봇을 보내어 안착시킨 후 거대한 행성을 쪼개어 자원을 채취해오는 방식의 전혀 다른 새로운 방안을 급속도로 진행 시키게 된다.  

 

 

 

 

 

정말 세계를 쥐락펴락 할 정도의 최고 상류층들의 '부'는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수준 훨씬 그 이상의 거대한 스케일이라는 것 만큼은 꽤나 실감힌 것 같다. 지구를 넘어 우주 행성을 컨트롤 하는 그들... 영화를 보는 내내 그의 초점없는 눈과 기계처럼 미소짓는 인위적인 표정을 보면서 매우 기이한 느낌을 받았는데 AI마냥 굉장히 기계적이고 인간미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완벽주의 나르시스트 라는 분위기를 연출하려는 의도였다면  정말 완벽한 캐릭터 분석이 아니었나싶다. 그는 자기자신에게 자아도취되어 상대방과 대화할때도 절대 눈 조차 마주치지 않는 매우 자기 중심적인 모습을 보여줬는데 그런 그가 유일하게 상대방을 똑바로 쳐다보고 얘기했던 장면이 있었다. 바로 민디 박사가 그의 의견에 강한 의구심을 내비치며 그에게 직접적으로 대립했던 순간이 있었는데 그 장면은 정말이지 공감능력 제로 수준의 천재 나르시스트의 모습이 어떤 모습인지를 너무 잘 보여주는 장면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그냥 인간이 아니무니다...)

 

 

 

 

 

 

엥? 그래서 아리아나그란데는 언제나와?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녀는 이미 토크쇼씬에서 등장했다. 민디박사와 케이트가 갖고 온 인류 멸망, 지구멸망 소식보다 사람들이 더 관심을 갖고 열광하는 것은 한낱(?) 연예인의 가십거리, 연애 소식이었다는 점이 포인트였는데 바로 그 장면에서 아리아나그란데가 등장했었다. 그리고 그녀의 전남친의 뜬금없는 생방송 프로포즈 장면에서 시청률이 급상승 하면서 토크쇼 시청률 지분을 그녀가 다 확보해버렸는데 그냥 뭐 현실을 갖다붙여놓은 수준. ㅎㅎ 그렇게 쩌리가 되어버린 민디박사와 케이트...

 

그것과는 별개로 이 영화의 OST 바로 아리아나그란데가 부른  노래 "Just look up"이란 노래는 영화 스토리상 존재했던 노래라고 하기에는 너무 고퀄에다 심지어 곡도 너무 좋았다. 포스팅의 어수선한 마무리는 그녀의 곡으로...

 

 

 

 

 

https://youtu.be/BnyvDBGojoQ

 

 

가사보기↓

더보기

Mm-mm, hmm
Ah, ah
We knew no bounds
Fell at the speed of sound
Ridin' against all odds,
but soon against ourselves
You haunted every memory
With no goodbyes, all bad for me
Your pride put out the fire in our flames
Then just one look is all it takes
I feel your eyes, they're locked on
every part of me
And then my dumb heart says
Just look up
There is no place to hide
True love doesn't die
It holds on tight and never lets you go
Just look up
You cannot deny the signs
What you'vе waited for
Don't wait no more
It's right up above you
Just look up
(Baby)
Know I lеt you down,
a nigga can't deny it (Uh-huh)
And there's so much I could lose it and,
yes, that matters (Yeah)
I've been dealin' with madness (Yo)
Wasn't the man you needed (Hmm)
You dealin' with sadness, truthfully,
it's all on me (Hmm)
And I'm sorry, my love
I'ma heal your heart,
I'll hold it in my hand (Ooh, ah-ah)
Time is oh so precious,
we don't really have much left now (Ooh)
Take my hand, baby,
I'll never leave you, Riley
Look up, what he's really trying to say
Is get your head out of your ass
Listen to the goddamn qualified scientists
We really fucked it up, fucked it up this time
It's so close, I can feel the heat big time
And you can't act like everything is alright
But this is probably happening in real time
Celebrate or cry or pray, whatever it takes
To get you through the mess we made
'Cause tomorrow may never come
Just look up
Turn off that shit Fox News
'Cause you're about to die soon everybody
Ooh, I, I, oh, I
Look up
Here it comes, comes
I'm so glad I'm here with you forever
In your arms

 


이 책은 내게 너무나 낯익은 책이다. 그럴수밖에 없는게 시집부문에서 워낙 오랫동안 꾸준히 사랑받아온 책이기도하고 직간접적으로 이 책을 종종 접해왔었기에 사실은 모를래야 모를 수 없는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 나는 이 책을 제대로 한번도 펼쳐본적이 없었다. 그동안 소설책이나 수필집은 종종 사면서도 시집을 돈 주고 사봐야지 라는 생각은 별로 해보지 못했었다. 그런데 요 근래 어느날 서점에서 문득 이 책을 또 발견하게됐고 드디어 처음으로 이 책을 펼쳐 읽어보게 되었는데, 나는 여지껏 이 시집이 '류시화'님의 직접 쓴 창작시인줄로 당연히 알고 지내왔건만, 사실은 이름 모를 시인, 예술가, 철학가 등등 혹은 평범한 대학생까지 작가를 알 수 없는, '작자미상'의 아름다운 글들을 하나로 모아둔 시집이었다는 점. (나혼자 엄청난 뒷북)

나는 스스로를 예술가라고 지칭하지 않는 사람들의 창작을 가끔 더 아름답고 고귀하게 여길때가 있다. '예술' 이라는 것의 진정한 가치는 말 그대로 진실됨과 진정성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예술가가 아닌 창작자들의 작품이야 말로 사실은 가장 순수함에 가까운 예술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었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그런 의미에서 평범한, 이름 모를 누군가들의 잠언 시집이라는 부분이 어쩌면 내 마음을 더욱 심쿵하게 했는지도 모른다.

어떤 구절들은 나도 모르게 눈가에 눈물이 핑 돌고, 아예 눈물이 흘러내리기도하며, 아 이제 시집을 읽으면 눈물이 흐르는 나이가 된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냥 최근에 겪었던 크고 작은 여러가지 힘들었던 일들로 인해서 감수성이 많이 예민하고 야들야들해졌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어쨌거나 나는 올해 연말 꽤나 뒤숭숭했던 마음들을 그나마 이 책을 통해서 위로받고 조금이나마, 아니 잠시나마라도 평온을 찾았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 책이 어떻게 이렇게 오랜시간동안 꾸준히 독자들에게 사랑 받아 올 수 있었는지, 이 책을 다 읽은 지금에서야 비로소 이해하고 깨닫게 되었다. 그냥 그럴싸하게 써내린 시시콜콜한 이야기들, 한철 훅 타오르다 사라지는 유행 가사들 따위가 아니라, 5년이 지나고 10년이 지나고 또 20년, 30년이 지나서도 다시금 이 책을 들여다본다면 그때는 또 다른 의미로 내게 다가오겠지. 혹은 그게 아닐지라도 마치 심신이완제처럼 각박한 현실에 치이고 다칠 때, 마치 긴급하게 내 마음에 수혈이 필요하다 싶을 때, 왠지 그럴때마다 꼭 한번씩 펼쳐보고 싶은, 인생 '잠언집'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한 자 한 자가 소중한 귀한 많은 잠언 시들 중에서도 내가 특히나 감동 받았던 시가 몇가지 있었는데, 그 중 한가지를 아래에 가져왔다.

 


 

'짧 기간 동안 살아야 한다면'



만일 단지 짧은 기간 동안 살아야 한다면
이 생에서 내가 사랑한 모든 사람들을 찾아보리라.
그리고 그들을 진정으로 사랑했음을 확실히 말하리라.
덜 후회하고 더 행동하리라.
또한 내가 좋아하는 노래들을 모두 불러 봐야지.
아, 나는 춤을 추리라.
나는 밤새도록 춤을 추리라.

하늘을 많이 바라보고 따뜻한 햇빛을 받으리라.
밤에는 달과 별을 많이 쳐다보리라.
그 다음에는
옷, 책, 물건, 내가 가진 사소한 모든 것들에 작별을 해야겠지.
그리고 나는 삶에 커다란 선물을 준 대자연에게 감사하리라.
그의 품속에 잠들며.


작자미상(여대생)

 



'대자연에 감사하리라' , '그의 품속에 잠들며' 에서 거의 이 시가 전달하는 아름다움의 극치를 느꼈던 것 같기도 하다. 얼핏 화자는 삶을 매우 허심탄회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 같지만 사실은 얼마나 삶을 감사히 생각하고 지극히 애정하고 있는지를. 그 마음이 깊숙히 느껴져서 나 또한 눈물이 날 것 같았다. (사실은 눈물이 났다고 한다) 그리고 내게도 주어진 시간과 삶을, 어떻게 마주하며 살아가야 하는가를 이 이름모를 작가의 아름다운 글을 통해서 많은 걸 깨닫는 시간이었다. 그와 동시에 모든건 영원하지않고, 모든건 결국 지나가리라. 라는 생각이 내 머리를 스치면서 결국 지금 내가 가장 크게 고통받는 있는 부분들 또한 그저 '별 것 아닌 것'이 되버리는 순간이었다고나 할까.

요즘 시시콜콜하게 유튜브에서 우연히 명상 영상을 본 적 있는데, 그 중에서도 '죽음명상'이란 것을 해본 적이 있다. 뭐 대단히 거창한 것은 아니고 그냥 자기전에 침대에 가볍게 누워서 귀에 버즈를 끼고 가만히 죽음명상에서 흘러나오는 나래이션에 집중하는 것인데, 그 명상의 목적은 아마도 당장 내일 내가 죽는다는 상상을 했을 때 지금 내게 닥친 시련과 혹은 내가 미워하는 사람들, 나를 분노하게 하는 모든 것들이 사실은 이 대자연 앞에서 얼마나 작고 사소한것에 불과한 것인지를 깨달을 수 있게 하는 것. 뭔가 초월적으로 상상을 하게 함으로써 현재의 나의 고민을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만들어주는 효과가 아닐까 라고 생각한다.

마치 그런 것 처럼 '짧은 시간 동안 살아야 한다면' 이라는 시가 내게 전달해준 이미지도 바로 이 '죽음명상'과 비슷한 것이 아니었나 싶다. 죽음명상이 좀 더 초월적이고 마치 해탈에 가까운 느낌이라면, 시가 전달하는 이미지는 좀 더 인생 그 자체로의 아름다움이 느껴진다고 할까. 그리고 생의 마지막 순간엔 정말로 미련도 후회도 없이 엄마처럼 포근한 자연속에서 생긋 미소를 지으며 누워 있을 것만 같은 평화로운 이미지들이 그려졌다. 그래서 눈물이 났었는지도 모르겠다. 그저 너무 아름답다고 여겨져서.

요즘 스트레스를 꽤 지속적으로 받았는지 집에오면 미친듯이 밥쳐먹고 포도주 슬쩍 꺼내서 마시고는 (와인아님. 포도주임)  골아떨어져 자곤 했다. 그러다 문득 전시를 보러 안간지가 오래된 것 같아서 포털에 '부산 전시'를 검색했다. 볼만한게 없을까 둘러보던 중에 아주 익숙한 주소에 왠 생각지도 못한 전시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매우 익숙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냥 거의 평생을 내가 살아오다시피한 동네였기 때문인데... (현재도 진행중) "우리 동네에 미술 전시를 하는 곳이 있다고?" 매우 생소하면서도 신기해서 더 찾아볼 것도 없이 "어,  나 내일 당장 저기 가봐야겠어." 라고 생각한 후 바로 꾸르륵 잠이 들었다.

 

 

 

보더휴먼
Border Human

2021.10.26 ~ 2021.11.19

아이테르, 부산 동구 범일로 65번길 21 4층

 

신체 모든 부분이 '인공적'으로 대체되는 시기가 온다면 과연 인간은 어떤 기준으로 인간이라 할 수 있는 것인가.
나는 <Border Human>을 통해 가상세계 속에 공간을 구축하고, 그 안에 토피아(풍경)를 채워나간다. 한 인간의 모습을 시작점으로 다종다양한 존재물이 뒤섞이는 토피아 속에서 새로운 정의와 가치가 생겨날 것이다. 그러나 가상세계는 과연 가상에만 존재하는 것일까. 곧 가상과 현실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는 시기는 도래할 것이다. 가상과 현실의 희미해져가는 경계에서 새로운 인간과 종이 탄생하며, 인간이란 무엇인지 진정한 의미를 되돌아볼 수 있다. 이때를 위해 나는 작품 속에 그 단서를 하나씩 남겨보려 한다.

If the time comes when all parts of the body are replaced with 'artificial', what standard 

can a human being be called a human being?
Through <Border Human>, I build a space in the virtual world and fill the topia (landscape) in it. 

New definitions and values   will be created in the topia where various beings are mixed, 

with one human figure as the starting point. But does the virtual world exist only in a virtual way? 

The time will come when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 will be broken soon. 

New humans and species are born at the blurring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ity, 

and we will be able to look back on the true meaning of human beings. For this purpose, 

I try to leave the clues one by one in my artworks.

 

 


 

 

 

 

바로 위의 전시인데, 개인적으로 '무인전시'는 내게 처음이었다. 나는 전시 개요 따위 읽어볼 생각없이 그저 낯익은 주소지만 보고 그냥 일단 보러 가겠다. 라는 생각으로 무작정 찾아갔다. 위치는 내게 너무나 익숙한 동네에 위치해 있었고 5F는 LOUNGE 4F는 ART SPACE라고 적혀있다. 하여튼 참 신기한 광경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동네에 ART SPACE가 다 생기는구나. 라는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아 뭐 물론 거의 12년 전쯤, 삼일극장, 삼성극장이 사라지기 전에도 그곳에 미술 전시가 열리긴 했지만 그것은 사라지는 극장을 기념하여 일회적으로 열린 전시였고 이 장소는 또 의미가 약간 다른 것 같다. 지속적으로 운영해 나갈 아트스페이스라고 생각을 하니 어쨌든 토박이로써는 꽤나 신선한 부분.

 

 

 

 

 

이곳의 아주 독특한 점은, 일반 주택을 개조한 것도 아니고 그 모습 그대로 전시장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아니 뭐..리모델링을 한다거나 그럴싸하게 우리가 생각하는 그 전형적인 갤러리의 모습은 (깨끗한 흰 벽 또는 뭐 다듬어진 벽?) 온데간데 없고 그냥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아주 오래된 느낌의 집이다. 그냥 말 그대로 사람이 살던 주거환경 그 모습 그대로. 그냥 가구나 전자제품 따위만 없을 뿐인, 텅 빈 집이었는데  입구가 너무 어두워서 스위치를 켰더니 불이 들어오긴 하더라. 사실 문을 열고 들어가기전에 무인전시인것을 전혀 몰랐던 상태여서 벨을... 눌러야하나? 라는 생각을 잠시 했었다. 그러나 문을 살짝 밀었다가 여시오. 라는 문구를 보고서야 아 문이 원래 열려있나보다 생각하고 들어가게된 것. 

 

 

 

 

 

안내문에 보면 열린 문 외, 닫혀있는 방은 전시 공간이 아니니 출입을 금지한다는 문구가 적혀있다. 하지만 인간이라면 본능적으로 호기심이 발동하곤 하는데 그 일말의 호기심이 들려는 찰나에 왠지 모를 스산한 공포가 더 밀려오는 바람에 바로 그런 허튼 생각은 바로 접어뒀다. 저 때 전시를 보러온 사람은 나 혼자였고 전시 관람 도중 만약 또 다른 방문객이 갑자기 들어온다면 난 아마 놀래서 심장이 떨어질것이야..... 라는 생각을 하면서 매우 조심스럽게 관람을 했다. 그리고 왠지 모르게 '혼자 있다' 라는 생각에 사로잡히면서 약간의 무서움이 들었는데, 뇌피셜을 써내려가보자면 동네에서 유명한 미치광이가 혼자 사는 오래된 집에 우연히 지나가다가 문이 열린 것을 보고 내가 침입했는데, 그곳에는 알수 없는 이상한 기구들이 빛을 내면서 움직이고 있었고 심지어 문이 닫힌 곳은 열어보지 마시오. 라는 꺼림칙한 문구까지 봐버린 상황. 얼른 보고 나가야지 라는 생각을 할 때즈음에 왠지 누군가 들이닥칠 것만 같은? 그런 허접스러운 망상이 머리를 스쳐지나간 것 같기도 하다. 

 

 

 

 

 

 

서두가 길어서 어렵게 등장한 작품사진. 일단은..다 필요없고 갤럭시 노트9 당장 갖다 버려야겠다. 빛번짐 효과가 아주 라식수술한 내 눈으로 직접 찍은것 마냥 화려하게 나왔다. 어찌됐든 "신체 모든 부분이 '인공적'으로 대체되는 시기가 온다면 과연 인간은 어떤 기준으로 인간이라 할 수 있는 것인가." 라는 전시 주제를 생각하며 감상해보았다. 뭐 지금도 신체의 일부를 인공적으로 대체하고 있기도 하고 (장애가 있는 분들) SF영화에서 흔히 자주 등장하는 로봇인간 따위를 제각각 형상화 한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로 인간의 모든 신체 부위들이 모조리 인공적으로 대체될 수 있는 시기가 온다면 인간의 형상은 지금 우리가 아는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일수도 있지 않을까. 어쨌든 그런 독특한 발상을 시작으로 만들어낸 작품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왠지 인간의 신체 부위를 가져다가 괴상한 실험을 하는 미치광이가 사는 집에 무단 침입한 것 같다는 생각이 계속.....(망상)

 

 

 

 

 

 

 

그리고 나가기전에 한번 더 열려있는 창문을 잠깐 응시했는데 이 마저도 공포영화속 한장면 마냥 스산하게 느껴졌다. 창문을 열어두고 커튼을 살짝 제쳐 놓은것도 아마 연출이겠지? 라고 생각하면서... 괜히 저기서 뭔가 튀어나오진 않을까 하는 생각  (몰입과다) 어쨌든 늦은 밤에 갈수록 더 분위기가 을씨년스러울 것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듬.. 분명히 전시회를 보고 왔는데 혼자 흉가체험이라도 하고 온 마냥 쫄깃해진 심장 느끼면서 돌아왔다. 

 

 

 

 

 

그리고 벽에 커다란 흰 종이가 붙어진 방명록을 봤는데, 지인이나 동료들이 많이 다녀간 모양이었다. 난 말그대로 그저 STRANGER일뿐.... 인스타 아이디 남길려다가 왠 관종짓인가 싶어 그만뒀다. 펜이 없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아이라이너로 짧은 방명록을 남기는데 또 왠지 그 순간에 뒤에서 뭔가가 훅 나타나진 않을까 싶은... (이정도면 거의 망상병인가) 아무튼 나름대로 신선한 경험을 했던 전시였다. 다음에는 또 어떤 모습들로 채워질지 궁금한 장소.

 

 

 

 

 

 

https://aither5.modoo.at/?link=2os1y0qq 

 

[예술협회 아이테르AITHER - 강시라 : 보더휴먼]

부산 범일동 294-2. 10:00-20:00

aither5.modoo.at

 



드디어 봤다. 그 유명한 드라마 오징어게임을! 넷플릭스에서 전체 시청률 1위를 달리고 있다기에 사실 제 아무리 유명하고 화제몰이중인 드라마라고 해도 관심 없으면 잘 안보는편인데 이 작품은 얼떨결에 한번 봐볼까? 라는 호기심이 들어서 시청해보게 되었다가 단 이틀만에 시즌1을 다 봤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매우 흥미롭게 잘 보았다'라는 감상평이고, 중간중간 소름끼치는 대사들이 나오는 구간마다 나도 모르게 순간 일시정지 눌러놓고 몇초간 멍하니 있다가 또 다시 재생하고, 또 일시정지 눌렀다가를 여러번 반복했을 정도로 되게 몰입감 높여주는 진한 대사들이 꽤 많았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회차를 꼽차면 4화, 6화가 가장 기억에 남는데, 6화는 알다시피 눈물 콧물 짜내는 편으로 굉장히 유명해서 유튜브에 오징어게임 6화 리액션 영상들 검색하면 엄청나게 많은 자료들이 쏟아져 나온다. 솔직히 전형적인 한국 신파극에 알러지가 있거나 극혐하는 사람들이라면은 또 "아.. 역시나" 라고 섣불리 생각할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어거지스러운 전개로 짜낸 신파라고 하기에는 각각의 캐릭터들의 사연과 그 개연성들이 충분히 현실에 뒷받침 하므로 그저 '진정성'으로 느껴졌고, 단순 유치한 신파극이라고 낮춰 말하기에는 몰입감과 전달력이 높은 작품이었다고 말하고싶다.

왜냐하면 오징어 게임속에 등장하는 각각 캐릭터들은 다 하나같이 너무나 현실을 빼다박았고 게임이 진행되는 장소만이 마치 현실속의'비현실적인' 공간으로써 존재하는데, 생존을 판가름하는 그 비현실적인 게임 장소가 어쩌면은 현실세계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결국 현실세계가 곧 '비현실'이며 언제나 불합리와 모순들로 가득찬 세상이라는 것.

그리고 공교롭게도 세계적으로 위상을 떨친 한국 작품들을 두루 살펴 보아하니, 공통적으로 '자본주의'에 대한 진지한 통찰과 그 헛점에 대해 비판하고 꼬집은 작품들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영화 '설국열차'가 그러했고 '기생충' , '옥자'가 그러했듯이, (이 정도면 자본주에 대해 통찰한 한국 영화가 세계적으로 성공한게 아니라 그냥 봉준호 감독 영화가 곧 세계적인것이 된건가 싶기도) '자본주의'라는 주제가 국적불문하고 만국 공통 공감대 형성이 가능한 주제여서 그런걸까 한국식 자본주의 비판 영화가 어쨌든 전 세계 사람들에게도 통하였다고 하니 흥미로운 일이다.


 

 

"폭력, 범죄의 등장"



오징어 게임 시즌1은 굉장히 비극적인 스토리를 담고있는데 그 제동에 슬슬 박차를 가하기 시작한게 아마 4화부터라고 생각한다. 6화에서는 슬픔을 극대화 했다면 4화는 가장 무자비하고 잔인한 모습을 담으면서 동시에 냉정한 경쟁 그 자체를 여과없이 보여준 회차가 아니었나싶다. 특히 처음으로 룰을 벗어난 악과 범죄가 등장했는데 불구하고 통제해주는 사람은 그 누구도 없으며 관리자들은 그저 방관할 뿐이고 그 마저도 게임의 일부로 부추길 뿐이었다. (뭔가 어디서 낯익게 많이 본 것 같은 풍경...)

이 부분이 소름 돋았던 이유는 마치 범죄가 들끓는 세상에서 그 누구도 우릴 지켜주지 않으며 사실은 그럴 생각도 없을 뿐더러 그 잔혹함 속에서도 오로지 자력으로 알아서들 생존하여라. 라는 혹독하고 매정한 메시지를 던지는 것 같았고 그것이 꼭 우리 사는 모습과 너무 똑 닮아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어디선가 범죄는 계속해서 일어나지만 제대로 처벌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그런 무서운 세상 말이다. 실제로 우리가 사는 세상.

 

"확률상 남자들이 유리한 게임이 많아.", "이 손 감춰, 약해보이니까."



4화에서 극중 '상우'가 뱉은 대사인데 물론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지만 어쨌든 원초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이 세상에 개인이 자력으로 생존함에 있어서 남자로써 살아갈 때 아직은 유리한 부분이 많으며, 마치 현재의 젠더갈등의 속에서 뭔가 원초적인 관점의 모습을 다시한번 드러내고 생각하게끔 하는 대사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손가락을 다쳐 장애가 있는 외국인 노동자 '알리'에게 상우가 건낸 말 역시, 이 사회에서 약점이 타인에게 노출 되어봤자 생존에 불리할 뿐이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부분.


 

"믿음, Trust"


그리고 '믿음'이라는 단어가 굉장히 빈번히 등장했다. 탈북자 출신인 '새벽'이는 늘 냉소적인 표정과 말투로 "나는 사람을 안믿어." 라고 습관처럼 말한다. 그리고 생존을 위해 각자 본능적으로 '팀'을 꾸린 상황에서 누가봐도 힘 잘 쓰게 생긴 남자들로만 구성된 집단을 향해, 때마침 그들이 세계를 폭력과 범죄로 장악하려고 덤비는 순간 '기훈'이 깡패 '덕수'에게 의미심장하게 내던지는 말이 나온다. 너는 과연 너희 팀들, 그들을 믿을 수 있냐고. 진지한 눈으로 반박하는데 그 질문을 받는 순간부터 '덕수'는 팀원에 대한 신뢰가 한순간 와장창 깨지고 이 세계에서 영원하고 절대적인 아군은 없다. 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장면. 소름끼치게도 우리 사는 현실 세계 반영이 너무나 잘 되어있다.

그리고 6화까지 절정으로 치닫으면서 우리를 '폭풍눈물' 흘리게 한 것은 바로 가장 가깝고, 함께 하고싶고, 신뢰하고 싶은 바로 그런 소중한 사람. 그런 사람들과도 이 냉혹한 경쟁의 세계에서 예외없이 전투를 치러야만 하는 잔인하고도 인정하고 싶지 않은 현실반영에 모두가 가슴앓이하고 눈물 흘린게 아닌가 싶다.


 



그 외에도 관리자들 사이에서 일어난 비리 (세모, 네모, 동그라미) 그리고 그 참혹한 결과 (마치 꼬리자리기를 보는 것 같은) 또 잔인하고 혹독한 시스템으로 설계된 이상한 세계 안에서 참가자들에게 "여러분들이 자발적으로, 자율적으로 임한 일" 이라는 말로 '잘못됨'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는 듯한 메시지가 우리들을 농락하고 조롱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도록 하는 부분들이, 정말로 부정하고싶지만 부정부패 만연하는 현실세계를 똑같이 복사하여 묘사한 것만 같았다. 탈북자, 카드빚, 자살, 고학력자의 현실, 외국인 노동자, 가정폭력, 정치 내부비리 등등 그냥 한국 사회에 현존하고 있는 문제들은 죄다 등장했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살기 고달픈 대한민국이라는 것을 전 세계 사람들이 다 알게 됐으니, 그런 와중에도 '오징어 게임'과 같은 우수한 문화 컨텐츠를 생산해내고 도대체 이 나라는 뭐하는 나라야? 라는 호기심을 던져주기에는 아주 충분한 작품인 것 같다.





우연히 발견한 책인데 생각보다 괜찮아서 두번 읽게 되었다. 실제로 작가가 자신에게 상담받았던 내담자들의 사연을 예로 들어 심리학적 분석을 설명하고 이야기하는데, 타 심리학 도서들처럼 어려운 전문용어가 자주 등장한다던지 그래서 내용을 이해하기에 시간이 다소 걸리거나 그런 불편함은 전혀 느낄 수 없을 정도로 편하고 읽기 쉽게 쓰여있다.

책에서 첫번째로 나오는 주제는 '의존성'에 대한 이야기였다. 책에서는 '성에사는주민'과 '마을에사는주민'으로 빗대어 이를 표현했는데 독립적이긴하나 지나치게 그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으며 절대 함부로 자신의 맘을 내비치지 않는 큰 성벽을 쌓고 사는 주민, 반대로 남들과 사교적으로 잘 지내는것 같지만 지나치게 타인 의존적이며 남들의 평판에 예민하여 수시로 기분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마을에 사는 주민. 이렇게 두가지로 분류하여 표현하였다.

결국은 당연한 얘기일 수 있지만 어느 한쪽도 심각하게 치우치지않은 적당한 밸런스 유지가 최선임을 얘기하고있고, 문득 저 얘기를 들으니 유명한 작가 겸 방송인 '허지웅'님이 생각났다. 그가 종종 티비에 나와서 어린시절의 힘들었던 경험들을 펼쳐내며 자기 자신은 하나부터 열까지 스스로 하지 않은게 없었고, 혼자서 모든걸 처리하고 해결했었다. 그리고 나름대로 '혼자서' 모든걸 해왔다는 점에 대해 스스로 자부심을 갖고 살아오기도 했었으나 시간이 지나고 생각해보니, 그 누구에게도 도움 요청하지 못했다는 것이, (그렇게 할 수 없었을수도있고 하지 않은걸수도 있지만) 타인에게 조금도 의지하지 않고 혼자서 모든걸 해결하며 살아온 삶이 그렇게 대단하고 멋있는것만은 아니었다. 라는 식의 이야기를 한게 생각났다. 토씨 하나하나 정확하게 기억할 순 없지만 대충 떠올려 보자면 그런 의미였다.

다행스럽게도 현재의 나는 극단적으로 혼자서 벽을 쌓는 사람도 아니며, 또 너무 타인에 의존적이지도 않은 그 중간 어딘가에 있는 인간으로써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지난 시간을 돌이켜 보면 나 역시도 극단적으로 성벽을 쌓고 살던 시절이 분명히 있었다. 그게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꽤나 고립되고 외로운 생활을 했었고 뭐가됐든 극단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지는 패턴은 정서적으로 너무나 고통스럽다는 것 만큼은 확실히 알 수 있었다. 혼자서 완벽하게 모든걸 처리하려는 행동이 생각처럼 그렇게 대단하고 멋있는 일이 아닐수도 있다는 것. 그리고 '나는 타인에게 절대 기대지않아' 라는 고집 때문에 누군가 내게 도움을 청할 때 그 도움의 자세를 이해하지 못해서 그를 민폐라고 여기거나 매우 냉소적이게 될 수 있다.



'홀로서기란 의존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태도에서 시작되며,
독립과 의존 욕구 사이에서 서핑하듯 균형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입니다.'

'건강한 의존이란 부족한 부분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 부분에 관해 힘 있는 사람에게 정확히 도움을 요청 하는 것'

'객관적인 의존은 나와 타인 모두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또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두번째 화살'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사실 이 이야기는 류시화님이 쓴 책 '날아가는 새는 뒤돌아 보지 않는다' 에서도 언급됐던 내용이라 괜히 반가운 맘이 들었다. 즉 책에서 말하는 것은 '감정은 죄가 없다. 감정에 대한 나의 감정이 문제일 뿐' 이라는 말로 짧고 굵게 핵심을 전달했다. 슬픈마음, 화나는 마음, 억울한 마음 모든 감정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의도치 않은, 예기치 못한 말이나 상처를 외부로 부터 받는다. 그것은 어쩔 수 없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첫번째 화살이지만 그 첫번째 화살을 느끼고 그것을 다루는 과정에서 스스로에게 두번째 화살을 쏘는 것이 실질적으로 제일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감정이 일어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그 감정에 오래도록 파뭍혀 있거나 계속해서 그 감정을 떠올리며 스스로를 채찍질 하고 죄책감 느끼도록 하는 행위는 스스로에게 쏘아대는 잔인한 두번째 화살이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두번째 화살때문에 스스로를 괴롭고 힘들게 한다.


'나를 심판하는 판사가 아니라 돌보는 사람이 되는 겁니다.'
'첫번째 화살도 아픕니다. 그런데 정말 아픈것은 두번째 화살입니다.
'두번째 화살은 첫번째 화살에 대한 대응으로 내가 나에게 쏘아대는 화살입니다.'



그리고 심리적인 문제를 접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는 이러이러한 환경에서 이러이러한 경험들을 겪었고 그로인해 너무 아픈 트라우마가 생겨버렸기 때문에 이것은 내 오랜 상처이므로 앞으로도 고쳐내기가 힘들거야. 라는 식으로 절망적인 생각들을 많이 생각하는데, 물론 트라우마의 종류가 뭐가 됐던지간에 그걸 이겨낸다는 것은 당연히 쉽지않은게 팩트이고 어쩌면은 끝없는 숙제가 될 지도 모르지만 조금만 생각을 달리하면 좀 더 내가 '능동적'으로 고쳐 나갈 수 있는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하게끔 해주는 문장이 있어서 되게 좋았다. 그것은 바로 트라우마로 인한 방어기재나 반복되는 행동양식들을 그저 '습관'으로 달리 생각해보자는 부분이었는데, 트라우마 라는것은 즉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이기 때문에 정신적 질환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그저 '습관'으로 바라보게 되면 '트라우마'라는 거창한 단어에서 느껴지는 부담감이 덜고 내가 노력하면 얼마든지 고칠 수 있는 가벼운 문제 정도로 여길 수 있다는 부분이 나름대로 신선한 관점의 전환이라고 느껴졌다. 우리에게 '트라우마 극복'이라는 거창한 단어보다는 '습관을 바꾸기'라는 쉬운 관점으로 이를 다룬다면 훨씬 부담도 덜고 효과적일 수 있지않을까.


'심리의 문제를 습관의 문제로 바라 볼 때 얻게되는 가장 큰 수확은
자신을 능동적인 주체로 바라보게 된다는 점 입니다.
습관은 내가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지요.'


+ Recent posts